- 2-1. 도메인 코드 만들기
- 2-2. 테스트 코드 만들기
- 2-3 Controller & Service & DTO 구현
- 2-4 Postman + 웹 콘솔로 검증
- 2-5 생성시간/수정시간 자동화 - JPA Auditing
이번 시간에는 JPA를 사용하여 간단한 API를 만들 예정입니다.
프로젝트 코드는 Github에 업로드되어 있으며, 본 세션의 코드는 브랜치 chapter2에서 작업하였습니다.
2-1. 도메인 코드 만들기
지난 시간에 이어 아래와 같이 controller 패키지와 domain 패키지를 나누어 생성합니다.
Post.java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Getter
@Entity
@Table(name = "post")
public class Post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Column(length = 500, 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title;
@Column(columnDefinition = "TEXT", 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content;
private String author;
@Builder
public Post(String title, String content, String author) {
this.title = title;
this.content = content;
this.author = author;
}
}
여기서 Post 클래스는 실제 DB 테이블과 매칭되는 클래스로서, Entity
클래스라고 합니다.
JPA를 사용하면 DB 데이터에 작업할 경우 쿼리를 사용하기 보다는 이 Entity 클래스의 수정을 통해 작업합니다.
위에서 사용한 JPA에서 제공하는 어노테이션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Entity
- 테이블과 매핑될 클래스임을 나타냅니다.
- underscore(_) case로 이름을 매핑합니다. (ex. SalesManager.java -> sales_manager table)
@Table(name="post")
- 혹시나 Entity 클래스명과 다르게 테이블명을 설정하고 싶을 때 해당 어노테이션 옵션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Id
- 해당 테이블의 PK 필드를 지정합니다.
@GeneratedValue
- PK 생성 규칙을 나타냅니다.
- 기본값은 AUTO이며, MySQL의 auto_increment와 같이 자동증가하는 정수형 값이 됩니다.
- GenerationType.IDENTITY 옵션을 주어 데이터베이스에 위임(MySQL) 하였습니다.
- SpringBoot 2.0부터는 해당 옵션 추가해야 auto_increment가 됩니다!
@Column
- 테이블의 컬럼을 의미하며, 선언하지 않더라도 Entity 클래스의 필드는 기본적으로 모두 컬럼이 됩니다.
- 기본값 외에 변경이 필요한 옵션이 있는 경우 사용합니다.
ex) 문자열의 경우 VARCHAR(255)이 기본인데 사이즈를 늘리거나(title
), 타입을 TEXT로 바꿀 때(content
) 사용.
그 외 보이는 어노테이션은 프로젝트 생성시 추가했던 Lombok 라이브러리의 어노테이션들 입니다.
@NoArgsConstructor
: 기본 생성자 자동 추가access = AccessLevel.PROTECTED
: 기본생성자 접근 권한을 protected로 제한.
Entity 클래스를 프로젝트 코드상에서 기본생성자로 생성하는 것은 막되, JPA에서 Entity 클래스를 생성하는 것은 허용하기 위해 추가.
-
@Getter
: 클래스 모든 필드에 Getter 메소드 자동 생성 @Builder
: 해당 클래스에 빌드 패턴 클래스 생성. (생성자 상단에 선언시 생성자에 포함된 필드만 빌드에 포함)
서비스 구축 단계에선 테이블(Entity 클래스) 설계 및 수정이 빈번하게 변경되는데요, Lombok의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코드 변경량을 최소화 시켜주기 때문에 강력 추천하는 라이브러리입니다.
중요)
Entity 클래스를 생성 시 주의할 점은 DDD관점에서 Setter 메소드를 만들지 않는 것입니다.
setter를 사용하여 해당 클래스의 인스턴스 값들이 변경되는 경우 불변성이 깨져 안정성이 떨어지고, 코드상으로 해당 변경의 의미가 희미해져 차후 도메인이 복잡해짐에 따라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해당 필드값 변경이 필요한 경우 아래와 같이 그 목적과 의도를 나타낼 수 있는 메소드를 Entity 클래스 내부에 추가하거나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public class Money { private int value; public Money add(Money money) { return new Money(this.value + money.getValue()); } }
PostRepository.java
public interface Post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Post, Long> {
}
JPA에선 Repository라고 부르고 ibatis/MyBatis 등에선 DAO라고 부르는 DB Layer 접근자입니다.
인터페이스 생성 후, JpaRepository<Entity클래스, PK타입>
을 상속하면 기본적인 CRUD 메소드가 자동 생성됩니다.
따로 @Repository
를 추가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제 잘 동작하는지 테스트 코드로 검증해보겠습니다.
2-2. 테스트 코드 만들기
PostRepositoryTest.java
import static org.hamcrest.MatcherAssert.assertThat;
import static org.hamcrest.Matchers.*;
@ExtendWith(SpringExtension.class)
@SpringBootTest
public class PostRepositoryTest {
@Autowired
PostRepository postRepository;
@Test
public void 게시글저장_불러오기() {
// given
postRepository.save(Post.builder()
.title("테스트 타이틀")
.author("테스트 작가")
.content("테스트 컨텐츠")
.build()
);
// when
List<Post> posts = postRepository.findAll();
// then
Post post = posts.get(0);
assertThat(post.getTitle(), is("테스트 타이틀"));
assertThat(post.getAuthor(), is("테스트 작가"));
assertThat(post.getContent(), is("테스트 컨텐츠"));
}
}
위 코드는 JUnit5라는 테스트 프레임워크로 작성된 코드인데요, 예상값과 결과값을 비교하여 검증할 수 있습니다.
JUnit5는 spring-boot-starter-test에 들어있기 때문에 별도로 build.gradle에 추가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해당 라이브러리에는 JUnit4와의 하위 호환성을 가지고 있으며 별다른 설정이 없으면 JUnit5를 사용합니다.
@ExtendWith(SpringExtension.class)
- JUnit4에선
RunWith(SpringRunner.class)
으로 사용되던 게 변경되엇습니다.
- JUnit4에선
given, when, then
- BDD(Behaviour-Driven Development)에서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 JUnit에선 이를 명시적으로 지원해주지 않아 주석으로 표현하였습니다.
assetThat
- 결과값 비교에 사용되는 메서드로
spring-boot-starter-test
라이브러리에 포함되어 있는Hamcrest
에서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 결과값 비교에 사용되는 메서드로
아래와 같이 테스트 메소드 게시글저장_불러오기()
를 실행시켜 테스트 코드가 통과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Tip)
DB가 설치가 안되어 있는데 Repository를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SpringBoot에서의 테스트 코드는 메모리 DB인 H2를 기본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테스트 코드를 실행하는 시점에 H2 DB를 실행시키며 테스트가 끝나면 같이 종료됩니다.
다음은 직접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짜서 진짜 DB에 데이터가 들어가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2-3 Controller & Service & DTO 구현
아래와 같이 post에 대한 controller 패키지
와 service 패키지
를 생성해줍니다.
사실 이정도 작은 규모의 프로젝트에는 이러한 패키징이 크게 필요는 없지만 최대한 DDD 관점에서 패키지를 나누었습니다.
기본 Architecture
Controller - (AppService) - DomainService - Infra(DB, ..)
PostController.java
@RestController
@AllArgsConstructor
public class PostController {
private PostService postService;
@PostMapping("post")
public void add(@RequestBody AddPostRequestDto request) {
postService.add(request);
}
}
PostService.java
@Service
@AllArgsConstructor
public class PostService {
private PostRepository postRepository;
@Transactional
public void add(AddPostRequestDto requst) {
postRepository.save(requst.toEntity());
}
}
위의 PostService는 DDD에서 도메인 서비스 계층(Domain Service Layer)에 속하는데요, 도메인 로직을 직접 구현하는 계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DDD Start 7장. 도메인 서비스을 참고해주세요😀)
또한 @Transaction
어노테이션 추가되어 있는데요, 해당 어노테이션이 선언된 메소드는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관리되어 보통 도메인 서비스 또는 응용 서비스에서 사용됩니다.
Transaction이란?
일반적으로 DB 데이터를 등록/수정/삭제하는 도메인 서비스, 응용 서비스의 메소드에서 사용합니다.
메소드에 이 어노테이션을 적용하게되면 내부 로직은 하나의 트랜잭션 단위로 묶이게 되며 아래 ACID 성질을 띄게 됩니다.
- 원자성(Atomicity) : 한 트랜잭션 내 작업들은 하나로 간주. 모두 성공 또는 모두 실패
- 일관성(Consistency) : 일관성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 유지
- 격리성(Isolation) :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미칠경우 하나만 실행.
- 지속성(Durability) : 트랜잭션이 성공하면 결과는 항상 저장된다.
예를 들어,
@Transactional
이 선언된 메소드에서save()
를 통해 10개의 데이터를 저장한다고 했을 때, 한 경우라도 Exception이 발생하면 전부 반영이 되지 않는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또한 postService
와 postRepository
필드에 @Autowired
가 없습니다.
스프링프레임워크에선 Bean을 주입하는 방식이 아래와 같이 있는데요,
@Autowired
- setter
- 생성자
이 중 가장 권장하는 방식이 생성자로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Autowired
는 비권장방식)
위 코드에서 생성자는 @AllArgsConstructor
를 사용하여 자동 생성해주어, 해당 클래스의 의존성 관계가 변경될 때마다 생성자 코드를 수정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해주고 있습니다.
이제 Controller에서 사용할 요청 DTO 클래스를 생성하겠습니다.
AddPostRequestDto.java
@Getter
@Setter
@Build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public class AddPostRequestDto {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author;
private String content;
public Post toEntity() {
return Post.builder()
.title(title)
.author(author)
.content(content)
.build();
}
}
이 경우엔 @Setter
를 선언해주었는데요, Controller의 @RequestBody
를 통해 외부에서 데이터를 받는 경우엔 기본생성자 + setter 메소드를 통해서만 값이 할당되기 때문입니다.
중요)
RequestDTO를 보면 Entity 클래스와 유사한 형태임에도 따로 생성했는데요, 절대로 테이블과 매핑되는 Entity 클래스를 Request/Response 로 사용하면 안됩니다.Entity 클래스는 가장 Core한 도메인 클래스라고 볼 수 있는데요, 수많은 비즈니스 로직들이 Entity 클래스를 기준으로 동작하게 됩니다.
Entity 클래스의 변경은 곧 비즈니스 로직 변경이라는 큰 의미를 가진 반면, Request/Response 클래스는 View를 위한 클래스이기 때문에 가볍게 자주 변경될 수 있습니다.따라서 View Layer와 Domain Layer는 철저하게 역할을 분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Service 메소드가 추가되었으니, 잘 작동하는지 간단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여 검증해보겠습니다.
src/test/java/com/heeveloper/webservice/service 패키지를 생성 후, PostServiceTest 클래스를 생성합니다.
import static org.hamcrest.MatcherAssert.assertThat;
import static org.hamcrest.Matchers.*;
@ExtendWith(SpringExtension.class)
@SpringBootTest
public class PostServiceTest {
@Autowired
private PostService postService;
@Autowired
private PostRepository postRepository;
@AfterEach
public void cleanup() {
postRepository.deleteAll();
}
@Test
public void Dto데이터가_posts테이블에_저장된다 () {
// given
AddPostRequestDto dto = AddPostRequestDto.builder()
.author("heeveloper")
.content("테스트content")
.title("테스트title")
.build();
// when
postService.add(dto);
// then
Post post = postRepository.findAll().get(0);
assertThat(post.getAuthor(), is("heeveloper"));
assertThat(post.getContent(), is("테스트content"));
assertThat(post.getTitle(), is("테스트title"));
}
}
2-4 Postman + 웹 콘솔로 검증
별도의 입력화면이 아직 없기 때문에 Postman을 이용해 Post 데이터를 전송해 검증해보겠습니다.
Local 환경에선 DB로 H2를 사용하기 때문에 SpringBoot에서 H2를 활성화시키도록 옵션을 추가하겠습니다.
src/main/resources에 있는 application.properties를 application.yml로 변경후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입력합니다.
spring:
h2:
console:
enabled: true
datasource:
driver-class-name: org.h2.Driver
url: jdbc:h2:mem:testdb
#username: sa
#password: 1234
username과 password를 설정하지 않으면 sa 계정으로 바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Tip)
application.properties를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yaml로 변경한 이유는 properties에 비해 유연한 구조를 가졌기 때문입니다.
yml은 상위 계층에 대한 표현 및 List 등을 완전하게 표현할 수가 있습니다.
최근 많은 도구들이 yml 설정을 지원하기 때문에 이참에 시작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application.yml 설정이 끝났다면 다시 Application.java를 실행시키고, 브라우저에 http://localhost:8080/h2-console 로 접속합니다.
connect 버튼을 눌러 접속한 후, 조회 쿼리를 실행합니다.
SELECT * FROM POST
현재는 데이터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이제 Postman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해보겠습니다.
Send 버튼을 눌러 전송후 다시 localhost:8080/h2-console에서 조회 쿼리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데이터가 입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5 생성시간/수정시간 자동화 - JPA Auditing
보통 Entity에는 유지 보수측면에서 해당 데이터의 생성시간과 수정시간이 중요하기 때문에 해당 필드를 갖게됩니다.
때문에 매번 DB에 insert, update 시에 아래와 같이 직접 시간을 입력하게 되는데요,
public void savePost() {
...
post.setCreateDate(new LocalDate());
postRepository.add(post);
...
}
이러한 단순하고 반복적인 코드가 모든 테이블과 서비스 메소드에 포함되는 것을 막기 위해 JPA Auditing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 Post 클래스에서 아래와 같이 생성시간, 수정시간 필드와 함께 Auditing 기능을 어노테이션으로 적용시켜줍니다.
Application.java
@EnableJpaAuditing // JPA Auditing 활성화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Application.class, args);
}
}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Getter
@Entity
@Table(name = "post")
@EntityListeners(AuditingEntityListener.class) // Auditing 기능 포함
public class Post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Column(length = 500, 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title;
@Column(columnDefinition = "TEXT", 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content;
private String author;
@CreatedDate
private LocalDateTime createdAt; // 생성 시간
@LastModifiedDate
private LocalDateTime modifiedAt; // 수정 시간
@Builder
public Post(String title, String content, String author) {
this.title = title;
this.content = content;
this.author = author;
}
}
-
@EntityListeners(AuditingEntityListener.class)
: Auditing 기능을 포함시킵니다. -
@CreatedDate
: Entity가 생성되어 저장될 때 시간이 자동 저장됩니다. -
@LastModifiedDate
: 조회한 Entity가 값을 변경할 때 시간이 자동 저장됩니다.
LocalDateTime
Java8부터 LocalDate와 LocalDateTime이 등장하였는데요,
그간 Java의 기본 날짜 타입인 Date의 문제점을 고친 타입이라 Java8 이상부턴 무조건 쓴다고 보면 됩니다.또 이전 SpringDataJpa 버전에선 LocalDate와 LocalDateTime이 Datebase에 저장시 제대로 전환이 안되는 이슈가 있는데요,
현재는 SpringDateJpa 코어 모듈인 Hibernate core 5.2.10부터 해결되어서 따로 신경쓸 필요가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Springboot 2.0부터 Hibernate 5.2.16을 지원하였습니다.)
다시 Application을 실행시켜 Postman으로 동일하게 요청후 h2 console에서 확인해보시면,
기존에 없던 CREATED_AT
, MODIFIED_AT
이 추가되고 값이 들어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pringBoot를 해보신 분들이라면 쉬우셨을텐데요, 실제로 SpringBoot & JPA는 회사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니
처음이신 분들도 직접 해보시면서 익숙해 지시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
다음 시간엔 View Template을 사용하여 실제 보여지는 화면을 만들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